출처: www.youtube.com/watch?v=7C9RgOcvkvo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DFS/BFS

 

탐색이란 많은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

조건에 맞는 거 위치 찾기 등


<스택 자료구조>

LIFO(선입후출, 먼저 들어 온 데이터가 나중에 나감)

- 입구와 출구가 동일하다.

ex. 박스 쌓기

#stack

stack = []

stack.append(5)
stack.append(2)
stack.pop()
stack.append(1)

print(stack[::-1]) #최상단 원소부터 출력
print(stack) #최하단 원소부터 출력

append method와 pop method를 사용함 -> 두 함수 모두 시간복잡도가 O(1)


<큐 자료구조>

FIFO(선입선출,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감)

- 입구와 출구가 모두 뚫려 있는 터널과 같은 형태

ex) 대기열, 은행 대기 등

#queue

queue = []

queue.append(5)
queue.append(2)
queue.pop(0)
queue.append(3)
queue.pop(0)

print(queue) # 처음부터
# deque 이용
from collections improt deque

queue = deque()

queue.append(5)
queue.append(2)
queue.popleft()
queue.append(3)
queue.popleft()

print(queue) # 먼저 들어온 순서대로
queue.reverse() # 역순
print(queue) # 늦게 들어온 순서대로

리스트를 사용하는 것보다 deque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

-> 리스트를 사용하여 큐를 구현하는게 deque보다 시간복잡도가 높다

-> 효율적인 측면에서 list를 사용하는건 좋지 않음


<재귀함수>

재귀함수: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함수

dfs구현시 자주 사용된다.

재귀함수 사용시 최대 깊이 제한에 주의해야함

수학적 점화식을 구현한다.

 

"재귀함수의 종료 조건"

- 재귀 함수의 종료 조건은 반드시 명시 되어야 함(ex. 100번째 호출시 종료 등)

- 종료 조건을 제대로 명시하지 않으면 함수가 무한히 호출될 수 있음

 

stack처럼

 

ex. 팩토리얼, 최대 공약수 계산(유클리드 호제법) 등

+) 0!= 1, 1! = 1

 

+) 유클리드 호제법

-> 두 개의 자연수에 대한 최대 공약수 구하기 문제

: 두 자연수 A, B에 대하여 (A>B)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R이라고 하자

이 때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B와 R의 최대공약수와 같다

=> GCD(A, B) == GCD(B, A%B)

def gcd (a, b):
  if a%b == 0:
      return b
  else:
      return gcd(b, a%b)

 

"유의사항"

- 재귀함수를 잘 활용하면 복잡한 알고리즘을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

단) 다른 사람이 이해하기 어려운 형태의 코드가 될 수도 있으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 모든 재귀함수는 반복문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 재귀함수가 반복문보다 유리한 경우도 있고 불리한 경우도 있음

- 컴퓨터가 함수를 연속적으로 호출하면 컴퓨터 메모리 내부에 스택 프레임에 쌓임

    => 그래서 스택을 사용해야할 때 구현상 스택 라이브러리 대신에 재귀 함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음


<DFS(Depth-First Search)>

- 깊이 우선 탐색, 그래프에서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

- 스택 자료구조, 혹은 재귀 함수를 이용하여 구현

더보기

1. 탐색 시작 노드를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

2. 스택의 최상단노드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한 노드가 하나라도 있으면 그 노드를 스택에 넣고 방문처리, 방문하지 않은 인접노드가 없으면 스택에서 최상단 노드를 꺼낸다.

3. 더 이상 2번의 과정을 수행할 수 없을때까지 반복

! 인접 노드 방문기준 세우기

#dfs 메서드
def dfs(graph, v, visited):
  visited[v] = True # 현재노드 방문처리
  print(v, end = " ")
  for i in graph[v]: #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방문
      if not visited[i]:
          dfs(graph, i, visited)
 
 # 각노드가 연결된 정보 표현(2차원 리스트)
graph = [ [], [2,3,8],  [1,7], [1,4,5] , [3,5],[ 3,4], [7], [2,6,8], [1,7]]

#각 노드가 방문된 정보 표현(1차원리스트)
visited = [False] * 9


#정의된 dfs함수 호출
dfs(graph, 1, visited)
    
//c++

bool visited[9];
vector<int> graph[9];

void  dfs(int x){
  visited[x] = true;
  cout << x << " ";
  for(int i=0; i < graph[x].size(); i++){
      int y= graph[x][i];
      if(!visited[y]) dfs(y);
  }
}

 

<DFS를 활용하는 알고리즘>

- 음료수 얼려 먹기

1. 특정한 지점의 주변 상, 하, 좌, 우를 살펴본 뒤에 주변 지점 중에서 값이 '0'이면서 아직 방문하지 않은 지점이 있다면 해당 지점을 방문

2. 방문한 지점에서 다시 상, 하, 좌, 우를 살펴보면서 방문을 진행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연결된 모든 지점을 방문할 수 있다.

3. 모든 노드에 대해 1~2번 과정을 반복하며, 방문하지 않은 지점의 수를 카운트한다.

#음료수 얼려 먹기

def dfs(x, y): #dfs로 특정 노드를 방문하고 연결된 모든 노드들도 방문
    if x<=-1 or x>=n or y <=-1 or y>=m: #주어진 범위 벗어나는 경우 종료
        return False
    if graph[x][y] == 0: #현노드를 아직 방문하지 않았다면
        graph[x][y] = 1 #방문처리
        #상하좌우 모두 재귀적 호출
        dfs(x-1, y)
        dfs(x, y-1)
        dfs(x+1, y)
        dfs(x, y+1)
        return True
    return False
    

n, m = map(int, input().split())

graph = []
for i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

result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dfs(i, j) == True:
            result+=1
            
print(result)

<BFS(Breadth-First Search)>

- 너비 우선 탐색, 그래프에서 가까운 노드부터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

- 큐 자료구조 이용하여 구현

더보기

1. 탐색 시작 노드를 큐에 삽입하고 방문처리

2. 큐에서 노드를 꺼낸뒤에 해당 노드의 인접 노드 중에서 방문하지 않은 노드모두 큐에 삽입하고 방문처리

3. 더 이상 2번의 과정을 수행할 수 없을때까지 반복

- 간선이 동일한 상황에서 최단 거리를 찾는 목적으로도 사용됨

#Python BF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bfs(graph, start, visited):
    queue = deque([start]) #큐 구현을위한 deque 라입르ㅓ리
    visited[start]= True #현재 노드 방문처리
    
    while queue: #큐가 빌때까지
    	v =queue.popleft() #큐에서 하나의 원소를 뽑아 출력하기
        print(v, end=' ')
        for i in graph[v]: # 아직 방문하지 않은 인접요소들을 큐에 삽입
        	if not visited[i]:
            	queue.append(i)
                visited[i] =True
 
graph = [ [], [2, 3, 8], [ 1, 7], [1, 4, 5], [3, 5], [3, 4], [7], [2,6, 8],  [1, 7] ]

visited = [False] * 9
bfs(graph, 1, visited)
#C++ BFS

bool visited[9];
vector<int> graph[9];

void bfs(int start){
   queue<int> q;
   q.push(start);
   visited[start] =  true;
   while(!q.empty(){
       int x = q.front();
       q.pop();
       cout<< x  << " ";
       for(int i=0; i  < graph[x].size();i++){
           int y = graph[x][i];
           if(!visited[y]){
               q.push(y);
               visited[y] = true;
           }
       }
   }
}

 

<BFS를 활용하는 알고리즘>

- 미로 탈출

1. 시작 지점에서 가까운 노드부터 차례대로 모든 노드를 탐색

2. 상, 하, 좌, 우로 연결된 모든 노드로의 거리가 1로 동일

    -> 따라서 (1,1) 지점부터 BFS를 수행하여 모든 노드의 최단 거리 값을 기록하면  해결할 수 있음

- 방문시 누적 거리(이전 값 + 1)로 값을 바꾸어 준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bfs(x, y):
    queue = deque()
    queue.append((x, y))
    
    while queue: #큐가 빌때까지 반복
        x, y = queue.popleft()
        
        #4방향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범위를 벗어난 경우
            if nx <0 or nx >=n or ny < 0 or ny >=m:
                continue
            #벽인 경우
            if graph[nx][ny] = 0:
                continue
            #해당 노드를 처음 방문하는 경우에만 최단 거리 기록
            if graph[nx][ny] == 1:
                graph[nx][ny] = graph[x][y] + 1
                queue.append((nx, ny))
    #가장 오른쪽 아래까지의 최단 거리 반환
    return graph[n-1][m-1]
    
n, m = map(int, input().split())
grpah = []

for i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
    
    
dx = [-1, 1, 0, 0]
dy = [0, 0, -1, 1]

prnit(bfs(0, 0))
      

'자윤이와고리즘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진탐색  (0) 2020.10.03
그리디 & 구현  (0) 2020.10.02
Brute-Force  (0) 2020.06.18
Hash  (0) 2020.06.15
시간복잡도  (0) 2020.03.12

 

"brute-force"

: 컴퓨터의 빠른 계산 능력을 이용,

: 가능한 경우의 수를 일일이 나열하면서 답을 찾는 방법

== 완전 탐색(exhaustive search)

 

[재귀 호출] : Recursion

: 우리가 들여다 보는 범위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각 조각들의 형태가 유사해지는 작업들

: 완전히 같은 코드를 반복해 실행하는 경우

 

"재귀 함수": 자신이 수행할 작업을 유사한 형태의 여러 조각으로 쪼갠 뒤 그 중 한 조각을 수행하고, 나머지를 자기 자신을 호출해 실행하는 함수

 

* '더이상 쪼개지지 않는' 최소한의 작업에 도달했을 때 답을 곧장 반환하는 조건문을 포함해야 한다.

--> "기저사례 base case" : 쪼개지지 않는 가장 작은 작업들

ex)

int recursiveSum(int n){
	if (n==1) return 1;
    return n + recursiveSum(n-1);
}

<0번 부터 차례대로 번호 매겨진 n개의 원소 중 네 개를 고르는 모든 경우 출력하는 코드>

ex) n = 7, (0,1,2,3), (0,1,2,4), (0,1,2,5) , ... , (3,4,5,6)

 

 

 

 

 

 

 

 

'자윤이와고리즘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디 & 구현  (0) 2020.10.02
스택, 큐, 재귀함수, DFS, BFS  (0) 2020.09.30
Hash  (0) 2020.06.15
시간복잡도  (0) 2020.03.12
BFS기본 구조  (0) 2019.03.20

map 사용

-> 인덱스를 문자열로 받는 배열

 

1. map : balance tree로 구현(RBtree)

map< string, int> m;

-> <key, value>

- insert 방식

그냥 대입하기

ex) m["hi"] = 50;

 

2. unordered_map : hash table로 구현(hash map)

 

iterator방식으로 순환

<first, second>

'자윤이와고리즘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디 & 구현  (0) 2020.10.02
스택, 큐, 재귀함수, DFS, BFS  (0) 2020.09.30
Brute-Force  (0) 2020.06.18
시간복잡도  (0) 2020.03.12
BFS기본 구조  (0) 2019.03.20

시간복잡도

 

- 알고리즘 수행 시간 기준

-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동안 수행하는 기본적인 연산(최소 크기의 연산)의 수를 입력의 크기에 대한 함수로 표현

 

-> 입력의 크기가 증가할 때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이 더 빠르게 증가함

== 시간 복잡도가 낮다고 해서 언제나 더 빠르게 동작하는 것은 아니다

== 입력의 크기가 충분히 작을 때는 시간복잡도가 높은 알고리즘이 더 빠르게 동작할 수 있다.

== 시간복잡도가 완전한 속도의 기준이 아님

== 입력의 크기가 매우 작을 경우 시간복잡도는 큰 의미 없음

 

입력의 크기, 입력의 형태 또한 수행 시간에 영향

'자윤이와고리즘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디 & 구현  (0) 2020.10.02
스택, 큐, 재귀함수, DFS, BFS  (0) 2020.09.30
Brute-Force  (0) 2020.06.18
Hash  (0) 2020.06.15
BFS기본 구조  (0) 2019.03.20

+ Recent posts